교착상태(deadlock)란?
무한 대기 상태 :
두 개 이상의 작업이 서로 상대방의 작업이 끝나기 만을 기다리고 있기 때문에,
다음 단계로 진행하지 못하는 상태
배치 처리 시스템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문제
프로세스, 스레드 둘 다 이와 같은 상태가 일어날 수 있음
다음 네 가지 조건이 모두 성립될 때, 교착상태 발생 가능성이 있음
1. 상호배제(Mutual exclusion): 프로세스들이 필요로 하는 자원에 대해 배타적인 통제권을 요구한다.
2. 점유대기(Hold and wait): 프로세스가 할당된 자원을 가진 상태에서 다른 자원을 기다린다.
3. 비선점(No preemption): 프로세스가 어떤 자원의 사용을 끝낼 때까지 그 자원을 뺏을 수 없다.
4. 순환대기(Circular wait): 각 프로세스는 순환적으로 다음 프로세스가 요구하는 자원을 가지고 있다
페이징 시스템 (0) | 2021.02.18 |
---|---|
가상 메모리 (0) | 2021.02.18 |
Thread (쓰레드) (0) | 2021.02.17 |
Thread (쓰레드) (0) | 2021.02.17 |
프로세스와 컨텍스트 스위칭 (0) | 2021.02.15 |
댓글 영역